Friday, November 16, 2018

Political Parties and FDI in Developing Countries.

My paper with Nisha Bellinger is now available in Political Studie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in this post in PSA blog.

In a nutshell, what is suggest is that the (effective) number of political partie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volume of FDI inflow in developing countries. Investors are less concerned about the investment climates in developing countries (which are otherwise not very glamorous) when there are many political parties to 1) decrease the chances of reckless policy decisions and 2) channel a wide swath of public demands to the government. This figure below aptly summar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parties (ENPP) and FDI.


Nisha Bellinger and Byunghwan Son. 2018. "Political Partie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among Developing Countries." Political Studies.  https://doi.org/10.1177/0032321718799015. Forthcoming.

Monday, August 7, 2017

Book Review: The Dollar Trap

A link to Goodread.

It took a while--2.5 years--to finish this book. No, it's a well-written, easy-read book that delivers clear messages with down-to-earth languages. It was precisely because of this high readability of the book that took me so long to finish it--`I can read it up whenever I want.'

The title can be easily misread. The `trap' does not signify the cataclysmic near future that the dollar will throw the current global financial system or the American economy into. Unlike many ominous verdicts on the current monetary system put forth by non-economist pundits, Prasad, an economist, convincingly demonstrates that how the fragility of the system paradoxically drives everybody towards the very centerpiece of the system, the dolla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r perhaps 1997-8 Asian Financial Crisis), for example, undoubtedly exposed how much of a sandpile the US-led global financial system was. The insecurity set off investors scrambling for safe assets. It turned out that the safest assets, however, are dollar-denominated ones. So the more fragile the system is found to be, the more thirsty the market would be for the dollar. Dollar reserves around the world are only to expand in the near future. So it's a trap in a sense that everybody goes back to it as they all want to escape it. 

'The end of the dollar' (and the tanking of the US economy along with it) that the dooms-sayers have been spreading since the crisis is an ungrounded fiction in this sense.

After making this extremely simple, but surprisingly convincing, point, Prasad walks the readers through the alleged `alternatives' of dollars. Be it the yuan or a new international coordination mechanism, he argues, all these alternatives fail just one test to replace the current--and increasing--global dominance of the dollar: the sense of safety (or sometimes, liquidity and safety). Yes, it is about the safety all along.

And, in so doing, he elegantly busts the myths non-economist pundits spread: the currency war is, in essence, a result of misperception; gold cannot replace the dollar given its limited liquidity and volatile price levels; China cannot just claim all its dollar denominated assets as doing so would directly undercut its own assets while the Fed can swiftly neutralize its effect. 

Towards the end of the book, though, it feels like the story is overstretched a little bit. The idea of global insurance, which Prasad proposes, is supposed to substitute the current individual reserve systems seems to overlook international coordination problem, for example; The Senkaku/Diaiyo issue isn't that serious an issue to set off a regional financial turmoil. But these are rather minor shortcomings that don't taint the service the book does to the readership.

Overall, it is a good book. You know, you can read it up whenever you want.

Wednesday, May 24, 2017

대만 동성결혼 합법화

대만이 아시아 최초로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는 것 같습니다.
식민지 경험이라던가 독재/분단/80년대 민주화 등등 구조적인 요인들은 비슷한데 왜 한국과 대만은 이렇게 눈에 띄는 차이를 보일까 싶어, 지난 포스팅에 이어 잉여짓을 좀 해봤습니다.

똑같은 World Value Survey데이터의 최근 두 웨이브 (2005-2009, 2010-2014)를 썼습니다.

그래프는 동성애는 '정당화' 될 수 있는가라른 설문항에 대한 한국, 대만, 그리고 OECD 전체의 답변 분포도 입니다. X축에서 적은 숫자일수록 '절대 정당화될 수 없다'에 가깝습니다.

전체적인 그림을 보면 한국이 대만에 비해 동성혼 합법화 논의가 덜 활성화된 이유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강력한 반대가 OECD평균에 비해 두 배에 가깝지만, 대만은 평균에 상당히 근접해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대만도 OECD 평균에 비해선 적극 지지하는 층은 그리 두텁지 않다는 것입니다.

여러가지 구조적인 조건이 비슷하다는 전제하에, 대만과 한국의 비교는 중요한 질문을 던집니다. 결국 강력한 지지보다는 강력한 반대의견이 동성 결혼 합법화 논의의 중요한 변수가 아닐까...라는 질문 말입니다. 적어도 이 데이터만 보면요.

제 전공과는 완전히 무관하기 때문에 누가 좀 대신 연구해줬으면 좋겠네요. (아마 이미 있을 겁니다.)

Thursday, April 27, 2017

[Slides] Park's Impeachment and Financial Market

The project that I'm currently working on seeks to answer, "why wasn't there any market panic around this whole impeachment thing in South Korea" (despite all the uncertainties)?

I haven't found a very compelling answer that would explicate the empirical result I have, which is one of the reasons why I am presenting it tomorrow at Korean Studies Center (GMU). I hope to garner some ideas as to how to go about this.

It takes a form of public lecture and, to my knowledge, there's going to be no political scientist or economist in the audience. That should explain why first several slides are about super basic stuff.


Tuesday, April 25, 2017

한국 정치 데이터에서 동성애 보호는 어떤 의미일까?

모두 실시간으로 보지는 못했지만, 4차 대선 후보 토론에서 아마도 소수자 보호에 대한 논란이 조금 있었던 것 같네요. 물론 실제로 건드린 이슈는 동성애 입니다. 동성애는 성적 정체성이므로 합법/불법, 동의/부정의 문제가 아님은 확실합니다.

다만 제 페이스북 타임라인을 보니 많은 문재인 후보가 좀 더 강력하게 동성애자들 (혹은 모든 성적 소수자들)도 일정한 법적 보호를 받아야한다라고 말하지 못한 부분을 아쉬워하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이런 아쉬움의 기저에는 "표에 눈이 멀어 비겁하게 진보적 의제를 관철시키지 못하는 것 아니냐" 정도의 시선이 자리하고 있을 겁니다. 

이런 시선에 동의하는 것과는 별개로, 사실 잘 이야깃 거리가 되지 않는 것 중 하나는 "과연 한국에서 성적 소수자를 보호하자는 주장은 얼마나 정치적으로 인기가 있을까 (없을까)?" 입니다. 물론 대중 정당의 후보들이 이 주제와 일정한 거리를 두려 노력하는 걸로 봐서는, 그리고 우리 주변을 둘러봤을때는, 아마도 소수자들에 대중적 인식은 상당히 부정적일 것이라 누구나 추정하실겁니다. 다만 그 '상당히'가 도대체 얼마만큼 인가에 대한 이야기는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물론 게으른 제가 열심히 찾아보진 않았지만.

그래서 잉여력을 발휘해서 데이터를 뒤져봤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한국 사회는 성적 소수자에 대해 '매우' 부정적입니다.

데이터는 World Value Survey (WVS)를 썼습니다. WVS가 완벽하지는 않지만 개인의 정치사회적 인식에 대한 학술 데이터로 워낙 광범위하게 쓰입니다. 또한 수시로하는 국내 여론조사에 비해서는 그나마 샘플링 등의 측면에서 문제가 덜 한 편입니다.

80년대 이래로 전세계에 걸쳐 거의 5-6년에 한 번씩 데이터가 쌓이고 있는데요, 지난 두 번의 wave, 그러니까 2000년대 중반, 그리고 2010년의 데이터만 썼습니다. 한국사회는 빠르게 변하고 있으니 아마도 더 오래된 자료는 오늘날의 현실을 보여주는데 크게 도움이 안되겠지요.

WVS 데이터는 누구나 다운 받을 수 있고, 아래에 제가 사용한 간단한 Stata 코드를 첨부했으니 관심있으신 분은 언제라도 스스로 분석해 볼 수 있습니다.

1. 비교적 관점에서 한국 사회의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

'동성애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justifiable)?'라는 질문에 대한 변수를 썼습니다. 이 변수는 0 (절대 정당화될 수 없다) 와 10 (절대 정당화 될 수 있다) 사이의 스케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라 별로 평균을 냈을 때 한국은 전세계적 수준에서 사실 딱 중간에 있습니다.

글씨가 작아 잘 안보이는데, 그래프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이 한국 입니다. 위치만 중간이 아니고 실제 수치도 딱 세계 평균 (3.3)에 근접합니다. 아주 폐쇄적인 중동의 종교국가들도 모두 골고루 포함되어 있음을 감안하면 사실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국내 수준
국가 수준의 평균으로 비교하는 것은 물론 한국정치에 직접적인 함의가 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한국 샘플만 따로 들여다 봤습니다 (n=2392). 비록 평균이 낮긴 하지만 상당한 사람들이 성적 소수자를 긍정적으로 보고 다만 중간층이 적어서 평균치가 낮게 나왔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죠. 결과는 안타깝게도 그렇지 않았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낮은 점수는 동성애에 부정적, 높은 점수는 보다 포용적인 의견을 의미합니다. 그래프에서 간명하게 볼 수 있듯이, 한국에는 동성애를 아주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이 절대 다수 입니다. 0-5에 해당되는 사람들을 '부정적'으로 분류 할 수 있다면, 샘플의 86%가 동성애에 부정적입니다. '심하게' 부정적인 사람들, 즉 0 혹은 1이라도 대답한 사람들만 쳐도 전체의 50% 정도가 됩니다.

반면 동성애에 보다 포용적인 사람들은 사실 극소수입니다. '적극적'으로 포용적인 사람들, 즉 9 혹은 10이라고 대답한 사람들은 전체의 3% 밖에 되지 않습니다.

정당 지지 별로 보면 좀 다를까요? 조사 시기에 리버럴이나 진보라고 할 만한 정당들은 민주당, 열린우리당, 민주노동당 정도였습니다. 이들 정당에 투표하겠다고 대답한 사람들과 다른 정당들 특히 한나라당이나 자유선진당 같은 보수당에 투표하겠다고 한 사람들 사이에 차이가 있었을까요?  답은 그렇다와 그렇지 않다 둘 다 인듯 합니다.

이 그래프는 정당 지지성향 별로 위의 동성애에 대한 의견 평균치를 나타낸 것입니다. 막대 그래프 위의 작은 뿔 같은 것은 95% 신뢰구간을 의미합니다. 확실히 진보-리버럴 정당에 투표하겠다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동성애에 더 포용적인 시각을 가진 것 같습니다. 95% 신뢰구간이 겹치지 않기 때문에 그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합니다 (t-test statistics = 6.21).

그러나 이 차이는 전체적으로 정말 미미해 보입니다. 두 그룹의 차이는 1 (2.9:3.9) 정도이니까요. 다시 말해서 비록 진보-리버럴 정당에 투표하겠다는 사람들도 전체적으로는 동성애에 상당히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들여다 보며 든 생각은 문재인 후보가 이 부분에 대해서 확실하게 진보의제를 관철시키지 못한 것이 어느 정도는 이해가 간다는 것이었습니다. 진보-보수를 막론하고, 한국 사회의 동성애에 대한 시각은 극단적으로 부정적입니다. 단순히 특정 종교나 사회 세력의 사보타지가 아니더라도, 이렇게 전면적으로 부정적인 이슈는 선거를 치르는 누구라도 피해가고 싶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용감하게 진보의제를 관철시킨 심상정 후보는 이런 측면에서 칭찬받아 마땅합니다. 그러나 아직도 치열하게 표싸움을 하고 있는 대중 정당의 후보가 이렇게 위험도 높은 선택을 하지 않았다는 건 비록 진보적인 가치에 동의하는 사람들이라고 해도 어느 정도는 이해해줘야 하지 않을까요?

아래는 데이터 보는 데 사용한 Stata 코드 입니다.

---------------
* use the integrated WVS data

gen gay = F118
replace gay=. if F118<1

gr hbar gay if S002>4, ///
over(S003, label(labs(vsmall)) sort(gay) ) scheme(s1color) 


keep if S003==410
hist gay if S002>4, den scheme(s1color) xtitle("") ///
kden saving(kor_gay_dis, replace)
gr export kor_gay_dis.png, replace


gen temp = E179
replace temp=. if E179<0
gen liberal = 0
recode liberal 0=1 if temp==410002
recode liberal 0=1 if temp==410004
recode liberal 0=1 if temp==410005
recode liberal 0=1 if temp==410006
replace liberal=. if E179<0

ttest gay if S002>4, by(liberal)

cibar gay if S002>4, ///
over1(liberal) /// 
graphopt(scheme(s1color) /// 
legend(order(1 "conservative" 2 "progressive-liberal")) /// 
ytitle("") ylabel(0 5 10) saving(ideo, replace))

gr export ideo.png, replace

Saturday, November 26, 2016

Antiauthoritarianism in the US and South Korea

A paper topic I've been thinking about in the past several years is Anti-authoritarianism around the world and its decline (that is, the rise of authoritarianism). As always, procrastination got in my way and I really haven't done anything on it. Recently, perhaps because of the election, it seems like an outcry of the rising authoritarianism in developed societies is not very uncommon. While I thought the argument has its merit, I wasn't really thinking of looking at the data even though I had a variable (the name is, you know, "anti-authoritarianism"), part of which was a central dependent variable of one of my published articles.

In my attempt to overcome Thanksgiving food coma this afternoon, I plotted a cross-national bar graph for this variable.



The variable antiauth captures individuals' Anti-authoritarianism (opposition to a military- or strongman rule) and each bar represents national average of the variable in each 'wave' of the Survey.

Both United States (yellow) and South Korea (green) showed their strongest anti-authoritarianism in the 1990s, which subsequently declined significantly in the 2000s. Recent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in both countries should make a certain amount of sense. To be fair, I didn't run numbers in any systematic way to see if these differences are actu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yet).

I should really start working on this (after submitting what I've been working on, that is).